|
이번 토론회는 행정복지위원회 주관으로, 의료·요양·돌봄 서비스의 통합적 지원체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시범사업을 운영 중인 선도 지자체의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나주형 통합돌봄 정책’의 발전 방향과 제도적 과제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한형철 의원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박성은 행정복지위원회 부위원장이 좌장을 맡아 회의를 주재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공공–지자체 협력 기반의 통합지원체계 구축 ▲영암군의 ‘올케어(All Care)’ 모델 ▲사회적협동조합형 지역의료복지 모델 ▲나주시 통합돌봄 시범사업 추진 현황 등이 차례로 발표됐다.
발제자들은 공통적으로 현장 중심의 다기관 협력체계 구축과 지속가능한 재정지원 기반 마련을 통합돌봄 정책의 핵심과제로 제시했다.
특히, “행정 중심의 공급형 돌봄체계에서 시민 참여형 협력모델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지속가능한 지역복지 생태계 조성을 위해 민·관·의료·복지기관 간의 협업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박성은 부위원장은 “의료와 복지가 분절적으로 운영되던 기존 구조를 넘어, 시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통합지원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지방정부의 책무”라며, “오늘 논의가 나주시 통합돌봄 모델을 구체화하는 실질적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통합돌봄은 노인복지에 국한된 정책이 아니라, 돌봄이 필요한 모든 시민을 위한 포괄적 사회정책 전환”이라며, 행정과 지역사회, 민간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지속가능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역 의료기관 및 복지시설 관계자,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참석자들은 현장 중심의 실효적 통합돌봄 체계 구축, 민관협력 기반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지역공동체 중심의 복지정책 전환의 필요성에 깊이 공감했다.
나주시의회는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복지·보건·의료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나주형 통합돌봄 모델’ 정립을 위한 정책적 논의와 제도 개선을 지속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통합돌봄 정책이 행정 주도가 아닌 시민과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협력 거버넌스 체계로 발전할 수 있도록 중장기 로드맵 마련과 재정지원 방안 검토를 병행해 나갈 방침이다.
전향윤 기자 chunjin1502@naver.com
2025.10.27 20:54












